먼저 여기여기를 보고 오는거 추천


조건부 확률의 정의에 의해서..

$P(A|B) = {P(A \cap B) \over P(B)}$

이렇게 되는데..


위 식을 $P(A \cap B)$에 대해서 다시 정리하면 $P(A \cap B) = P(A|B)P(B)$가 된다.

(A와 B가 독립이라면 $P(A \cap B) = P(A)P(B)$ 이렇게 간단하게 되지만.. 문제는 항상 그렇지 않다는것)

A와 B를 바꾸면 $P(A \cap B) = P(B|A)P(A)$

따라서

$P(A|B) = {P(A \cap B) \over P(B)} = {{P(B|A)P(A)} \over P(B)}$가 되고 이를 베이즈 정리라고 부른다.


유도자체는 참 쉬운데, 예제를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운 편으로.. 한 번 예를 들어보자.

(아례 예제들은 여기서 가져왔다.)


예제1

두개의 노트북 조립라인을 가진 공장에서 생산된 1,000대씩의 노트북들을 같은 화물 창고에 쌓아 놓았다. 각각의 조립라인을 정밀하게 조사하여, 1번 조립라인에서 생산된 노트북의 10%가 불량이고, 2번 조립라인에서 생산된 노트북의 15%가 불량임을 알았다. 화물 창고의 노트북을 하나 꺼내 조사한 결과 불량이었을 때, 이 노트북이 1번 조립라인에서 생산되었을 확률은?


사건 1 = 1번공장에서 노트북이 나옴

사건 2 = 2번공장에서 노트북이 나옴

사건 불량 = 노트북이 불량임

으로 정의하면

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은 P(불량|1)=0.1, P(불량|2)=0.15 이다.

또한 P(1) = P(2) = 0.5임을 유추할 수 있다.


구하고자 하는 값은 P(1|불량) 이므로

베이즈 정리를 적용하면

$P(1|불량) = P(불량|1)P(1) / P(불량)$인데,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. $P(불량)$은 주어지지 않은 값이기 때문 ㅋ

근데 조금 까다롭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 $P(불량) = P(불량 \cap 1) + P(불량 \cap 2)$임을 유추할 수 있다.


따라서 

$P(1|불량) = P(불량|1)P(1) / P(불량) = {{P(불량|1)P(1)} \over {P(불량 \cap 1) + P(불량 \cap 2)}} = {{P(불량|1)P(1)} \over {P(불량|1)P(1) + P(불량|2)P(2)}}$

가 되고,

P(1) = P(2) = 0.5이므로 약분시키고, 위에 알려진 숫자들을 다 대입하면, 

$P(1|불량) = {{P(불량|1)} \over {P(불량|1) + P(불량|2)}} = {0.1 \over {0.1 \times 0.15}} = 0.4$


답은 40%가 된다.



사후확률


- P(A) : A의 사전확률 (a prioi). 어떠한 사건에 대한 정보가 없을 때의 확률.

- P(A|B) : B에 대한 A의 사후확률 (posteriori). B라는 정보가 주어졌을 때의 확률.


반응형

'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kelihood(가능도 = 우도)  (0) 2018.10.02
MLE, 최대우도추정(Maximum Likelihood Estimation)  (0) 2018.09.27
독립사건, 독립시행  (0) 2018.09.27
조건부 확률  (0) 2018.09.27
조합  (0) 2017.11.08

+ Recent posts